http://powergi.tistory.com/entry/%ED%8E%8C-Makefile%EC%9D%84-%EB%A7%8C%EB%93%A4%EC%96%B4%EB%B3%B4%EC%9E%90-1
펌] Makefile을 만들어보자
작성한 코드에 구문검사를 해서 구문에 이상이 있다면 오류를 내주어 작성한 유저에게 알려주고 만약 검사에 이상이 없다면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에 메모리에 올라간다. 이처럼 컴파일의 역할은 유저가 작성한 코드에 이상이 없는지 검사하고 코드에 작성된 변수나 함수들을 메모리에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링크
프로그램을 만드는 마지막 작업이 바로 링크(Link)라는 과정이다. 필요한 조각들을 모두 모으거나 어떤 부분이 빠져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과정이다. 정적 라이브러리(Static Library)를 사용할 때, 링커는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부분을 라이브러리에서 찾아서 그냥 실행파일에다 카피해버린다. 공유 라이브러리(또는 동적 라이브러리)의 경우에는 이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실행파일에다가 단지 "실행될 때 우선 이 라이브러리를 로딩시킬 것"이라는 메시지만을 남겨놓는다. 당연히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실행파일의 크기가 작아진다. 그들은 메모리도 또한 적게 차지하며, 하드 디스크의 용량도 적게 차지한다.
링킹(linking)은 여러가지 코드와 데이터를 묶어 메모리로 로드될 수 있는 하나의 실행 가능한 파일을 만드는 작업이다.
링킹은 컴파일-타임때 행해질 수도 있고, 로드-타임(로더에 의해), 혹은 런-타임(응용 프로그램에 의해)때도 행해질 수 있다.
Cygwin
윈도우 환경에서 GNU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http://falinux.com/win/study/cygwin/cygwin1.html
Make Utility
1. 들어가기
프로그래머들은 작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는 단순히 수정하고 나서 모든 파일을 다시 컴파일 하여 새로 프로그램을 만들게 된다. 그러나 좀더 규모가 큰 프로그램에서는 이런 간단한 방법이 약간의 문제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하나의 파일만 변경하게 되더라도 다시 컴파일 해야 하는 등의 수정하고 컴파일하고 테스트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될 것이다. 이것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어 진 것이 make 유틸리티이다. 다시 정리하자면 이 유틸리티는 큰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필요한 유틸리티이며, 프로그램 중 어느 부분이 새롭게 컴파일 되어야 하는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해서 커맨드(컴파일러, 쉘등)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재 컴파일을 하게 된다.
2. 왜 사용하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면 보통 라인 수가 증가하게 되어 하나의 파일만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보통은 각각의 기능을 작은 모듈로 나누어 여러 파일로 나누어 개발을 하게 된다. 이 파일들은 서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어느 하나를 필요에 의해 바꾸게 되었을 때 그 파일에 있는 모듈(함수)를 이용하는 다른 파일도 새롭게 컴파일 되어야 한다. 하지만 파일 수가 많은 경우 이를 일일이 컴파일을 하게 될 때, 그 불편함과 함께 컴파일 하지 않아도 될 것도 컴파일을 하게 될 수 있고, 컴파일 해야 할 것도 미쳐 못하게 되어 링크시 에러를 발생하게 되는 경우도 있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자동적으로 관계 있는 것만 새롭게 컴파일 하거나, 여러 개의 입력 파일로부터 출력 파일을 생성할 때 make 유틸리티는 필요하게 된다.
3. 어떻게 사용할까?
make 유틸리티는 많은 기능을 제공하지만, 자동으로 입력 파일을 인식하고, 컴파일 하여 출력 파일을 생성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이 것에 대한 정보를 make가 알 수 있도록 파일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것이 Makefile이라는 파일이다. 이것은 make가 이해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있는 스크립트 언어와 흡사하다. Makefile에서는 시스템의 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컴파일러등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Makefile은 대개 프로젝트의 다른 소스 파일과 같은 디렉토리에 존재하며, 큰 프로그램에서는 각 각의 기능들을 위해 독립적인Makefile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관리한다.
4. Makefile에 대하여… …
메이크파일은 기본적으로 대상(Target), 의존 관계(dependency), 명령(command)등에 대한 규칙들(rules)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의 list 4-1은 기본적인 메이크파일의 플랫폼이다.
Target . . . : Dependency . . .
Command . . .
. . . . . . . |
List 4-1. Makefile의 플랫폼
Note1 |
· Target : Command에 의해서 수행 되어서 나온 결과 파일을 지정하므로, 일반적으로 목적 파일(Object file)이나 실행 파일이다.
· Dependency : 생성되는 파일인 대상(Target)과 이것이 의존하는 파일들의 관계를 나타낸다.
· Command : Command 부분에 정의된 명령들은 의존 관계(Dependency)부분에 정의된 파일의 내용이 바뀌었거나, 대상(Target) 부분에 해당하는 파일이 없을 때 이곳에 정의된 것들이 차례대로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쉘에서 쓸 수 있는 모든 명령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Bash에 기반한 쉘 스크립트도 지원한다.
|
4.1. Makefile 예제 보기
· 간단한 Makefile 만들기
간단하게 Makefile을 만들어 보자. 우리가 만들려고 하는 프로그램은 main.c, read.c, write.c
로 구성되어 있고 모두 io.h
을 사용하고read.c는 defs.h을 더 포함하고, wirte.c는 buffer.h라는
라는 헤더 파일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이들을 각각 컴파일해서test 라는 실행 파일을 생성시킨다 아래의 list 4-2는 쉘 상에서 실행 파일을 만든 것이고, List 4-3은 Makefile을 작성하여 만든 것이다.
$gcc -c main.c $gcc -c read.c $gcc -c write.c $gcc -o test main.o read.o write.o |
List 4-2. 쉘 상에서 실행 파일 만들기
test: main.o read.o write.o gcc -o test main.o read.o write.o
main.o : io.h main.c gcc -c main.c
read.o : io.h defs.h read.c gcc -c read.c
write.o : io.h buffer.h write.c gcc -c write.c
$make gcc -c main.c gcc -c main.c gcc -c main.c gcc -o test main.o read.o write.o
|
List 4-3. Makefile을 작성하여 실행 파일 만들기와 실행 화면
Note2 |
· 쉘 상에서 make명령을 내리면 먼저 make는 먼저 현재 디렉토리에서 makefile이라는 파일을 찾는다. 이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Makefile이라는 파일을 찾는다.전통적인 유닉스 프로그래머는 makefile을 사용한다.
· make는 Makefile의 내용을 보고, 내부적으로 어떻게 파일들이 의존하고 있는지 조사한다.
· 위의 예제에서는 test라는 실행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는 main.o는 io.h, read.o는 io.h와 defs.h, 그리고write.o는 io.h와 buffer.h의 헤더 파일과 모두 자신의 소스에 의존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만약에 main.c를 고친다면 main.o가 컴파일되어 다시 생기고, test 도 다시 링크되어 갱신된다. 만약 io.h가 바뀌었다고가정하면 모든 파일들이 컴파일되어서 목적 파일이 생기고, 그것들이 링크가 되어 test가 생긴다 |
· 변수를 사용하여 더 간단하게 만들기
위의 예제에서 변수를 사용하여 더 간단하게 Makefile을 작성한 것이 List 4-4 이다.
# Variables make Makefiles simpler Objects = main.o read.o write.o
test: $(Objects) gcc -o test $(Objects)
main.o : io.h main.c gcc -c main.c
read.o : io.h defs.h read.c gcc -c read.c
write.o : io.h buffer.h write.c gcc -c write.c
|
List 4-4. 변수을 이용하여 Makefile만들기
Note3 |
· Makefile에서의 주석문은 #으로 시작하고, 한 줄의 끝까지 계속된다.
· Makefile에서는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값을 대입하기 위해서는 “=”을 사용하고 $(변수), ${변수}의 형식을 사용하여 값을 쓸 수 있게 된다.
· Makefile에서 사용되는 모든 규칙은 탭으로 시작하는 줄에 있어야 한다. 빈 칸은 허용되지 않는다. 다수의 빈 칸과 탭은 같은 것으로 보이고, 유닉스 프로그래밍의 다른 모든 경우에 빈 칸과 탭 사이에는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이것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Makefile에서 줄의 마지막에 있는 빈 칸은 make명령이 실패하게 할 수 있다. |
· 명령들을 추론하여 만들기
make명령은 C 소스인 경우 .o을 이용하여 .c를 추론하여 명령을 내부 규칙에 따라 gcc -c을 수행하게 된다. 아래의 List 4-5는 이것을 보여 주고 있다.
#Letting make deduce the commands OBJECTS = main.o read.o write.o
test: $( OBJECTS) gcc -o test $( OBJECTS)
main.o : io.h
read.o : io.h defs.h
write.o : io.h buffer.h
.PHONY : clean clean: -rm –f $( OBJECTS) @rm –f test
|
List 4-5. 명령을 추론하여 만든 Makefile
Note4 |
· 위의 clean처럼 대상(Target)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이 그냥 레이블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을Phony Target이라고 하면 위의 형식처럼 사용하는데 .PHONY는 생략하여도 된다.
· 위의 예제에서 rm명령 앞에 있는“-“는 make가 에러를 무시하게 한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를 만들기 원하고 디렉토리가 이미 존재할 경우에 에러를 무시하기 원한다면, mkdir 앞에 “-“를 추가하면 된다.
· 위의 예제에서 rm명령 앞에 있는 @는 make가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표준 출력 장치로 출력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
· 또 다른 형태의 Makefile 만들기
내부 규칙에 따라 Target대신에 의존성(dependency)만을 사용하여 만들 것이 List 4-6이다.
# Alternative sytle of makefile
OBJECTS = main.o read.o write.o
test: $( OBJECTS) gcc -o test $( OBJECTS)
$(Objects) : io.h
read.o : defs.h
write.o : buffer.h
|
List 4-6. 의존성을 이용하여 Makefile만들기
4.2. Makefile의 기능을 향상시키 주는 매크로 와 확장자 규칙
· 매크로(Macro)란 무엇일까?
매크로는 특정한 코드를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며,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변수를 지정하는 것처럼 하면된다. 매크로를 Makefile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나 ${..}, $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을 사용하기를 권고한다. 아래의 List 4-7은 매크로의 사용 방법을 보여 주고 있다.
# Macro makes Makefile happy.
OBJECTS = main.o read.o write.o
test: $( OBJECTS) gcc -o test $( OBJECTS)
$(OBJECTS) : io.h
read.o : defs.h
write.o : buffer.h
|
List 4-7. 간단한 매크로 예제
· 미리 정해져 있는 매크로(Macro)들의 무엇이 있을까?
프로그래머가 매크로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지만, 미리 정의된 매크로들이 있다. 이 매크로들을 보기 위해서는 ‘make –p’라고 입력해 보면 make에서 미리 정의 되어 있는 모든 값들(매크로, 환경 변수등등)을 볼 수 있다. 아래의 List 4-8은 미리 정의된 매크로를 보여 주고 있으며, List 4-9는 미리 정의 된 매크로를 사용하여 만든 예제이다.
|
List 4-8. 미리 정의된 매크로
Note5 |
· 매크로는 관습적으로 대문자를 작성된다.
· 쉘 상에서 정의한 환경 변수 값들은 그대로 이용된다.
|
OBJECTS = main.o read.o write.o SRCS = main.c read.c write.c CC = gcc CFLAGS = -g -c TARGET = test $(TARGET) : $(OBJECTS) $(CC) -o $(TARGET) $(OBJECTS) clean : rm -f $(OBJECTS) $(TARGET) main.o : io.h main.c read.o : io.h read.c write.o: io.h write.c $make gcc -g -c main.c -o main.o gcc -g -c read.c -o read.o gcc -g -c write.c -o write.o gcc -o test main.o read.o write.o $make clean rm -rf main.o read.o write.o test |
List 4-9. 미리 정의된 매크로를 사용한 예제 와 실행 화면
Note6 |
· CFLAGS 같은 매크로는 make 파일의 내부에서 이용하여 .c파일을 .o파일로 바꾸어 주는 부분이 없어도CFLAGS에 값을 세팅하면 make가 알아서 컴파일을 수행하여 .o파일을 생성한다.
|
· 확장자 규칙(Suffix rule)란 무엇인가?
파일의 확장자를 보고, 그에 따라 적절한 연산을 수행시키는 규칙이다. 가령 가령 .c 파일은 일반적으로 C 소스 코드를 가리키며, .o 파일은 목적파일(Object file)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당연히 .c 파일은 컴파일되어서 .o 파일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SUFFIXS라는 매크로를 사용하여확장자를 등록하여 줄 수 있다. 아래의 List 4-10은 .SUFFIXES 매크로를 이용한 예제이다.
.SUFFIXES : .c .o OBJECTS = main.o read.o write.o SRCS = main.c read.c write.c CC = gcc CFLAGS = -g –c TARGET = test $(TARGET) : $(OBJECTS) $(CC) –o $(TARGET) $(OBJECTS) clean: rm –f $(OBJECTS) $(TARGET) main.o : io.h main.c read.o : io.h defs.h read.c write.o : io.h buffer.h write.c $make gcc -g -c main.c -o main.o gcc -g -c read.c -o read.o gcc -g -c write.c -o write.o gcc -o test main.o read.o write.o |
List 4-10. .SUFFIXES를 사용한 예제와 실행 화면
Note7 |
· 확장자 규칙에 의해서 make는 파일들 간의 확장자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필요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위의 예제에서는 자동적으로 아래와 같은 루틴이 자동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c .o : $(CC) $(CFLAGS) -c $< -o $@
· make 내부에서 기본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확장자는 다음과 같다. .out .a .ln .o .c .cc .C .p .f .F .r .y .l .s .S .mod .sym .def .h .info .dvi .tex .texinfo .texi .txinfo
·
|
· 내부 매크로(Internal macro)무엇일까?
make에서는 내부 매크로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우리가 맘대로 정할 수 있는 매크로는 절대 아니다. 대신 매크로를 연산, 처리하는데 쓰이는 매크로라고 하는 것이 더 적당할 것이다. 아래의 Table 4-1은 내부 매크로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List 4-11은 내부 매크로를 사용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내부 매크로 | 설 명 |
$* | 확장자가 없는 현재의 대상(Target) 파일 |
$@ | 현재의 대상(Target) 파일 |
$< | 현재의 대상(Target) 파일보다 더 최근에 갱신된 파일 이름 (dependency중에서 처음에 위치한 파일 이름) |
$? | 현재의 대상(Target) 파일보다 더 최근에 갱신된 파일 이름 (모든 dependency 파일의 이름) |
Table 4-1. 내부 매크로
main.o : main.c io.h gcc -c $*.c ($* 는 확장자가 없는 현재의 대상 파일이므로 $* 는 결국 main에 해당된다.) test : $(OBJECTS) gcc –o $@ $*.c ($@ 는 현재의 대상 파일이므로 $* 는 결국 test에 해당된다.) .c .o : gcc -c $< (또는 gcc -c $*.c) ($< 는 현재의 대상 파일보다 더 최근에 갱싱된 파일 이름이므로, .o 파일보다 더 최근에 갱신된 .c 파일은 자동적으로 컴파일이 된다. 가령 main.o를 만들고 난 다음에 main.c를 갱신하게 되면 main.c는 $<의 작용에 의해 새롭게 컴파일 된다.) |
List 4-11은 내부 매크로를 사용한 예제
4.3 Makefile를 작성할 때 알면 좋은 것들
· 긴 명령어를 여러 라인으로 표시하기
Makefile을 작성할 때 명령어가 한 줄을 넘어간다면, ‘\’문자를 이용해서 여러 라인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아래의 List 4-12은 긴 명려어를 여러 라인으로 나타내는 예제이다.
OBJECTS = shape.o \ rectangle.o \ circle.o \ line.o \ main.o \ read.o \ write.o \ |
List 4-12. 여러 라인으로 명령어 나타내는 예제
· 매크로 치환(Macro substitution)
매크로를 지정하고, 그것을 이용하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런데 필용에 의해 매크로의 내용을 조그만 바꾸어야 할 때가 있다. 매크로 내용의 일부만 바꾸기 위해서는 $(MACRO_NAME:OLD=NEW)과 같은 형식을 이용하면 된다. 아래의 List 4-13은 매크로 치환에 대한 예제이다.
MY_NAME = Hello World YOUR_NAME = $(MY_NAME:Hello=Hi)
(Jack이란 부분이 Jook으로 바뀌게 된다. 즉 YOUR_NAME이란 매크로의 값은 Hi World이 된다.)
OBJS = main.o read.o write.o SRCS = $(OBJS:.o=.c)
(SRCS에서는 OBJS에서 .o가 .c로 바뀌게 된다. 다음과 같이 변경되는 것이다. SRCS = main.c read.c write.c) |
List 4-13. 매크로 치환에 대한 예제
· 자동 의존 관계 생성(Automatic dependency)
일반적인 make 구조는 대상(target), 의존 관계(dependency), 명령(command)이 연속적으로 정의 되어 있는데 실행되는데, 명령이 없이 대상과 의존 관계만 표시가 되면 이는 대상이 어는 파일에 의존하고 있는지 표시해 주는 정보 역할을 하게 됩니다. Makefile을 작성할 때 없어서는 안되는 부분입니다.그런데 일일이 이런 정보를 만든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런 단조롭고 귀찮은 일을 자동으로 해주기 위해서 gcc –M XX.c의 형식을 사용하여 의존 관계를 만들게 된다.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make dep라는 것을 친 기억이 있을 것이다. 파일들의 의존 관계를 작성해 준다는 의미이다. List 4-14는 자동 의존 관계를 생성하는 예제이다.
.SUFFIXES : .c .o CFLAGS = -O2 -g OBJS = main.o read.o write.o SRCS = $(OBJS:.o=.c) test : $(OBJS) $(CC) -o test $(OBJS) dep : $(CC) –M $(SRCS) $make dep $vi Makefile main.o: main.c /usr/include/stdio.h /usr/include/features.h \ /usr/include/sys/cdefs.h /usr/include/libio.h \ /usr/include/_G_config.h io.h read.o: read.c io.h defs.h write.o: write.c io.h buffer.h (Makefile의 뒷부분에 위에 내용이 첨가 된다.)
|
List 4-14. 자동 의존 관계 생성 예제 및 실행화면
· 다중 타켓(Multiple Target)
하나의 Makefile
에서 꼭 하나의 결과만 만들어 내라는 법은 없다. 결과 파일이 3개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아래의 List 4-15는 다중 대상(Target)에 대한 예제이다.
.SUFFIXES : .c .o CC = gcc CFLAGS = -O2 -g OBJS1 = main.o test1.o OBJS2 = main.o test2.o OBJS3 = main.o test3.o SRCS = $(OBJS1:.o=.c) $(OBJS2:.o=.c) $(OBJS3:.o=.c) all : test1 test2 test3 test1 : $(OBJS1) $(CC) -o test1 $(OBJS1) test2 : $(OBJS2) $(CC) -o test2 $(OBJS2) test3 : $(OBJS3) $(CC) -o test3 $(OBJS3) deep : $(CC) -M $(SRCS) $make all (또는 make) gcc -O2 -g -c main.c -o main.o gcc -O2 -g -c test1.c -o test1.o gcc -o test1 main.o test1.o ( test1 의 생성 ) gcc -O2 -g -c test2.c -o test2.o gcc -o test2 main.o test2.o ( test2 의 생성 ) gcc -O2 -g -c test3.c -o test3.o gcc -o test3 main.o test3.o ( test3 의 생성 )
|
List 4-15. 다중 대상(Target)에 대한 예제 및 실행 화면.
· 순환 make(Recursive make)
규모가 큰 프로그램들은 파일들이 하나의 디렉토리에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개의 서브시스템이 전체 시스템을 구성한다고 가정하면 각 서브시스템에 Makefile
이 존재한다. (서브시스템 = 서브디렉토리) 따라서 여러 개의 Makefile
을 동작시킬 필요가 있도록 Makefile
을 고쳐 보자. 서브디렉토리에 있는 Makefile
을 동작시키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아래의 List 4-16은 순환 make에 대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subsystem: cd subdir; $(MAKE) .....(1) subsystem: $(MAKE) -C subdir .....(2)
(위의 예제에서 (1)과 (2)는 동일한 명령을 수행한다 우리가 만들 시스템의 타겟이subsystem이다. 우선 subdir이라는 곳으로 가서, 거기에 있는
SUFFIXES : .c .o CC = gcc CFLAGS = -O2 -g all : DataBase Test <- 요기에 집중. DataBase: cd db ; $(MAKE) (db 로 이동해서 make 실행 ) Test: cd test ; $(Make) ( db 로 이동해서 make 실행 )
$make cd db ; make make[1]: Entering directory`/home/raxis/TEST/src' gcc -O2 -g -c DBopen.c -o DBopen.o gcc -O2 -g -c DBread.c -o DBread.o gcc -O2 -g -c DBwrite.c -o DBwrite.o make[1]: Leaving directory `/home/windows/TEST/src' cd test ; make make[1]: Entering directory `/home/raxis/TEST/test' gcc -O2 -g -c test.c -o test.o make[1]: Leaving directory `/home/windows/TEST/test' (make뒤의 대괄호의 1이라고 나타난 것은 현재의 레벨을 의미한다. 원래 디렉토리의 레벨이 0이고,여기서는 레벨이 하나 더 내려갔으므로 1이라고 표시된 것이다.) |
List 4-16. 순환 make 대한 예제 및 실행 화면
· 불필요한 재컴파일 막기
의존 관계 규칙에 의해 하나가 바뀌면 그에 영향받는 모든 파일이 바뀐다고 앞에서 말했다. 그러나 다른 파일들에게 아무 영향을 주지 않도록 수정하였는데도 재컴파일을 시도한다면 시간 낭비가 될 수도 있다. 가령 모든 .c 파일에서 include 하는 헤더 파일에서 새로운 #define PI 3.14 라고 정의를 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PI라는 것은 아무 곳에서도 사용을 하지 않는다. 이때는 'make -t' 라고 해보자. -t 는 touch를 의미하는 옵션으로써 컴파일을 하지 않는 대신 파일의 생성 날짜만 가장 최근으로 바꾸어 놓는다. 새로 컴파일 된 것처럼 처리를 하는 것이다. touch유틸리티 명렁어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이해할 것이다. touch는 파일의 생성 날짜를 현재로 바꾸어 주는 간단한 유틸리티이다.
4.4 Makefile에 사용되는 옵션
make에서 거의 모든 것은 Makefile
내부에서 모두 지정을 할 수 있다. 그중 일부를 make의 실행 시에 옵션으로 통해서 줄 수도 있다. List 4-17은 수많은 옵션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 옵션을 보여 주고 있다.
-C dir 위에서도 밝혔듯이
-d
-h 옵션에 관한 도움말을 출력한다. (-help)
-f file file 에 해당하는 파일을
-r 내장하고 있는 각종 규칙(Suffix rule 등)을 없는 것으로 (-no-builtin-rules)간주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규칙을 새롭게 정의해 주어야 한다.
-t 파일의 생성 날짜를 현재 시간으로 갱신한다. (-touch)
-v make의 버전을 출력한다. (전 GNU make 3.73 을 씁니다.) (-version)
-p make에서 내부적으로 세팅되어 있는 값들을 출력한다. (-print-data-base)
-k make는 에러가 발생하면 도중에 실행을 포기하게 되는데 (-keep-going) -k 는 에러가 나더라도 멈추지 말고 계속 진행하라는 뜻. |
List 4-17. Makefile의 옵션들
4.5 Makefile의 실제 예제
아래의 List 4-18과 List 4-19은 Makefile 예를 보여 주고 있다.
HOSTARCH := $(shell uname -m | sed -e s/i.86/i386/ -e s/sun4u/sparc64/ \ -e s/arm.*/arm/ -e s/sa110/arm/ -e s/macppc/ppc/)
HOSTOS := $(shell uname -s | tr A-Z a-z)
ifeq ($(HOSTARCH),ppc) CROSS_COMPILE = else CROSS_COMPILE = endif
export CROSS_COMPILE HOSTARCH
TOPDIR := $(shell if [ "$$PWD" != "" ]; then echo $$PWD; else pwd; fi)
export TOPDIR
include $(TOPDIR)/config.mk
SUBDIRS = common driver
#OBJS = ascu/libascu.a OBJS += driver/libdriver.a #OBJS += net/libnet.a OBJS += common/libcommon.a
all: ascu @for dir in $(SUBDIRS); \ do \ $(MAKE) -C $$dir || exit 1 ; \ done
ascu: depend subdirs $(OBJS) $(LDSCRIPT) $(CC) -o ascu_prog $(OBJS) -D_REENTRANT -lpthread
subdirs: @for dir in $(SUBDIRS) ; \ do \ $(MAKE) -C $$dir || exit 1 ; \ done
depend dep: @for dir in $(SUBDIRS) ; \ do \ $(MAKE) -C $$dir .depend ; \ done
clean: rm -f `find . -type f \ \( -name '*.o' -o -name '*.a' \) -print` rm -f ascu_prog ascu.elf ascu.map
clobber: clean rm -f `find . -type f \ \( -name .depend -name '*.o' -o -name '*.a' \) \ -print` rm -f ascu_prog ascu.elf ascu.map |
List 4-18 첫번째 Makefile 예제
include $(TOPDIR)/config.mk
LIB = ascu
LIBDIR = lib$(LIB).a
OBJS = $(patsubst %.c,%.o,$(wildcard *.c))
$(LIBDIR): .depend $(OBJS) $(AR) crv $@ $^
#########################################################################
.depend: Makefile $(SOBJS:.o=.S) $(OBJS:.o=.c) $(CC) -M $(CFLAGS) $(SOBJS:.o=.S) $(OBJS:.o=.c) > $@
sinclude .depend
#########################################################################
|
List 4-19 두번째 Makefile 예제
아래의 List 4-20은 List 4-19의 Makefile에 의해 생성된 dependency 파일을 보여 주고 있다.
main.o: main.c /usr/include/stdio.h /usr/include/features.h \ /usr/include/sys/cdefs.h /usr/include/gnu/stubs.h \ /usr/lib/gcc-lib/i386-redhat-linux/egcs-2.91.66/include/stddef.h \ /usr/lib/gcc-lib/i386-redhat-linux/egcs-2.91.66/include/stdarg.h \ /usr/include/bits/types.h /usr/include/libio.h \ /usr/include/_G_config.h /usr/include/bits/stdio_lim.h \ /usr/include/bits/stdio.h |
List 4-20 생성된 dependency 파일(.depend)
'Ubuntu(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마우스 휠 방향 바꾸기(mac osx처럼) (0) | 2016.02.15 |
---|---|
PDF editor - web / pdf 편집을 웹에서 간단히 하는 방법 (0) | 2016.01.28 |
우분투에서 윈도우로 원격 접속하기 (0) | 2015.04.30 |
ubuntu 14.04에서 workspace사용하기 (0) | 2015.04.06 |
우분투에서 한글이 물음표로 나온다면?! (2) | 201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