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공돌이가 google을 애용하는 이유.
공돌이가 google을 애용하는 이유. 저또한 공돌이로 개발자입니다. 왜 공돌이들이 구글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저는 linux를 코딩하던 중 memmem이라는 함수를 찾기 위해서 네이버에 검색을 해봤습니다.참고) void* memmem((const void *haystack, size_t haystacklen, const void *needle, size_t needlelen); 네이버에는 memmem과 연관은 있지만 가십거리 정도의 포스팅이 주를 이루는데요,google을 한번 보겠습니다. 구글은 제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군요ㅎㅎ이러한 차이때문에 공대생 혹은 개발자들이 구글이나 위키를 쓴답니다~ ( 네이버는 일상에서 생활할때 쓰면 유용합니다~ ) 공돌이가 google을 애용하..
c++ / 6. memcpy에 대해서 실험해봤습니다.
c++ / 6. memcpy에 대해서 실험해봤습니다. memcpy나 mem의 함수에 대해서 많이 모르기 때문에 설명서를 읽고 실습을 해보기록 했습니다. memcpy는 복사를 하는 함수인데, 단순히 드는 궁금증. 복사를 할 때 크기가 서로 다르거나 하면 어떻게 되지??그래서 바로 vim을 열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봤습니다. 총 테스트는 2가지입니다.기본 구조는 int 1개, int array1개이고, 첫번째 실험은 int에 값을 준 후, array에 한번은 부족하게, 다른 한번은 넉넉하게 값을 준 경우입니다.두번째 실험은 array에 값을 가득 채운 후, int에 값을 주는 경우입니다.( 값이 채워지는 것을 보기 위해서 초기화는 1로 했습니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c++ / 5. template를 사용해서 array만들기. - 1탄
c++ / 5. template를 사용해서 array만들기. - 1탄 template는 학부때, 혹은 c++의 책에 맨 마지막에 자리하게 되어서 잘 보지 않는 부분입니다.그래서 회사에서 template로 된 소스를 이용해서 구현하는데 애좀 먹었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template와 친해지기 바래 - template로 array만들기편 우선, array라 함은 메모리 동적할당이 일어나야 하니깐 memset이나 malloc을 resize하는 함수들과 친해져야합니다. 모르는 것이 나왔으니~ 검색!terminal에서 man으로 검색해보니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MEMSET(3) Linux Programmer's Manual MEMSET(3)NAME memset - fill memory with a con..
git에서 merge한 후에 merge이전의 소스와 비교하기
git에서 merge한 후에 merge이전의 소스와 비교하기 git을 사용하다 보면 git merge을 통해서 fetch받은 소스를 업데이트 한 후에,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는지궁금할 때가 있다. 그럴때 쓰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git diff HEAD^ [파일]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는지 확인이 된다. git에서 merge한 후에 merge이전의 소스와 비교하기 끝.
[vi/vim] 80 컬럼(column) 색깔 넣기 - vimrc 설정하기
[vi/vim] 80 컬럼(column) 색깔 넣기 - vimrc 설정하기 80번 줄을 지키는 것은 오래전 컴퓨터가 해상도가 낮아서 80칸 밖에 출력이 안되던 시절의 전유물입니다.하지만 근래에도 이것은 기본 매너로 적용이 되는데, 80 컬럼 설정을 하지 않는다면, 깜박깜박 하게 됩니다. 80 컬럼에 색을 넣는 것은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ubuntu)$ vi ~/.vimrcvimrc를 연 후, (mac, iterm2)$ cd /usr/share/vim$ sudo vi vimrcvimrc를 연 후, set colorcolumn=81 그러면 81번째 줄에 빨간줄이 그어집니다.(빨간줄 전까지만 사용하면 되요~!) [vi/vim] 80 컬럼(column) 색깔 넣기 - vimrc 설정하기 끝.
4. 미디어 쿼리를 써보자.
4. 미디어 쿼리를 써보자. 3. 뷰포트란 무엇인가?! ( 바로가기 )에 이어서 미디어 쿼리를 사용해서 웹사이트의 디바이스가 달라질때, 웹사이트가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해봅시다. 위 코드에 보면 viewport와 함께 적용이 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코드를 작성한 후에 실습을 해봤는데 매우 흥미롭군요ㅎㅎ웹의 크기를 변경하면 배경색이 바뀌네요~! 자~! 미디어 쿼리를 사용해봤습니다ㅎㅎ실제로 터미널을 열어서 코딩을 하면서 확인을 해보면 더욱 잘 익혀집니다~! 4. 미디어 쿼리를 써보자. 끝.
3. 뷰포트란 무엇인가?!
3. 뷰포트란 무엇인가?! 36p~ 뷰포트란~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기기의 화면의 크기에 따라 이미지와 같은 보이는 것들의 크기를 조절해주는 기능입니다.(말이 약간 깔끔하지 못하네요..) (이 작업은 컴퓨터의 화면과 스마트폰/테블릿의 화면을 비교해야하기 때문에 웹서버가 필요합니다.) meta 부분이 없으면 화면의 크기에 따라서 사진이 작아집니다.따라서 반응형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 이 부분은 핸드폰에서 확인을 해보면 확실합니다.)
[맥북] ftp는 파일질라!
[맥북] ftp는 파일질라! 맥북으로 이것 저것 놀고 있는 Devkyu입니다~! 정말 이것 저것 하다보니깐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도 필요하더라구요그래서 file zilla를 설치할겸 포스팅으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file zilla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무료 소프트웨어입니다.https://filezilla-project.org/ 다운로드는 All platform용으로 다운로드를 누른 후mac용을 다운받으시면 됩니다.(source forge에서 몇초 기다리면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그리고 더블클릭하면 끝. [맥북] ftp는 파일질라! 도 끝.